
[Github] GPG Key Github에 적용하기
2022. 10. 25. 22:57
그리고/Github
자, 이제 GPG Key를 Github에 적용해보자! GPG Key를 확인하자 이전 포스팅에서 복사한 키 값을 가지고 public key를 확인한다. gpg --armor --export [GPG Key ID] 위 커맨드를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키를 볼 수 있다. -----BEGIN PGP PUBLIC KEY BLOCK----- ... -----END PGP PUBLIC KEY BLOCK----- Github에 GPG Key 적용하기 Github에 들어가서 Settings를 들어가자! 아래 이미지를 차근차근 따라가보자. 이제 아까 확인한 GPG Key를 넣어주고 인증을 하면 GPG Key가 성공적으로 Github에 등록된다! 레퍼런스 Github에서 제공하는 가이드 문서

[Github] PR merge 후 자동으로 branch 제거하기
2022. 10. 19. 06:49
그리고/Github
Github PR 동작 방식 Git은 일반적으로 Pull Requests를 통해 수정사항을 main branch에 반영한 후, 작업 중이던 branch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PR 반영 후에는 아래와 같이 하단에 작업 중이던 branch를 지울 것인지 물어본다. 하지만, 가끔씩 remote branch를 지우지 않고, local branch만 지워서 remote branch의 수가 엄청나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Github에서 PR merge 후에 branch를 자동으로 제거해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Github 설정하기 해당 기능은 repository마다 설정을 해줘야 한다. Repository 상단의 메뉴에서 맨 오른쪽에 Settings를 진입한다. 그리고 ..